1. 이 책은 영어 번역본으로서 처음 소개하는 한국의 고전 산문 모음집입니다.
This book is the first English-Korean translated collection of Korean classical prose.
이 책을 통해 에세이를 비롯하여 논설, 기록문, 편지, 일기, 묘지명, 기행문 등 현재에 이르기까지 명문으로 꼽히는 한국 고전 산문 작품을 주제별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Through this book, readers can encounter a variety of Korean classical prose works organized by themes, including essays, discourses, letters, diaries, epitaphs, and travelogues, considered masterpieces even today.
2. 이 책은 해외 교육기관에서 한국의 전통문화와 한국인들의 정서 등을 탐구할 읽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This book can be used as reading material in inter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to explor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 sentiments of the Korean people.
이 책은 개별 독자의 관심에 부응할 뿐 아니라 영어권 지역의 교육기관에서 한국 고전 산문을 소개하는 과목의 수업 교재 및 읽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 고전 산문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와 각 작품 및 작가에 대한 간명한 설명, 작품별 이해와 감상을 돕는 질문을 제시함으로써 다른 문화권에 속한 현대 독자들이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This book is designed to cater to individual readers’ interests while serving as a textbook and supplementary material for courses introducing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 educaion institution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It has been structured to make classical Korean prose accessible and engaging for modern reader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o achieve this, it provides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genre, concise explanations of each author and their works, and thoughtprovoking questions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3. 이 책은 작품의 인상적 장면을 그림으로 표현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습니다.
This book illustrates impressive scenes from the works to aid readers’ understanding.
대학에서 고전 산문을 전공하여 가르치고 있는 고려대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의 저자들은 현대인에게 울림을 주는 작품을 선별하여 일반인이 읽기 쉽게 번역하고, 학계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한 해제를 더하여 올바른 작품 이해를 꾀했습니다.
This collection of prose explores diverse themes, including attitudes toward life, affection for family, reflections on society, and travel experiences. Each work features striking passages brought to life through illustrations that help international readers understand and connect with the content.
4. 이 책은 전문가들이 작품을 엄선하여 번역하고 해제를 집필하였습니다.
This book features carefully selected and translated works by experts, along with their commentaries on each work.
대학에서 고전 산문을 전공하여 가르치고 있는 고려대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의 저자들은 현대인에게 울림을 주는 작품을 선별하여 일반인이 읽기 쉽게 번역하고, 학계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한 해제를 더하여 올바른 작품 이해를 꾀했습니다.
The authors, scholars from Korea University's Outreach Center for Korean Linguistic,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specialize in classical prose and have carefully selected works that resonate with modern readers. They translated the texts into accessible language and incorporated the latest academic research, providing insightful commentaries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works.
Outreach Center for Korean Linguistic,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at Korea University
고려대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The Outreach Center for Korean Linguistic,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at Korea University(OCKS) is an institute dedicated to sharing and exchanging research findings research findings in Korean Studies-encompassing the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with researchers, educators, and students globally. The OCKS develops online content to support the education and research of Korean Studies abroad. Additionally, the OCKS has expanded the field of Korean Studies by publishing research papers and source books in English.
송혁기
현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소장,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저서로 《고전의 시선》, 《나만이 알아주는 나: 조귀명 평전》, 《농암집: 김창협 작품선》, 《조선 후기 한문 산문의 이론과 비평》 등이 있다.
Song Hyok-key is currently the Director of the OCKS and a Professor of Sinographic Literature at Korea University. His publications include Gojeon-ui siseon (The Perspective of Classics), Na-mani arajuneun na (Me that Only I Recognize: Biography of Jo Gwi-myeong), Nongam jip (Collected Works of Nongam Kim Chang-hyeop), and Joseon hugi hanmun sanmun-ui iron-gwa bipyeong (Theory and Criticism of Sinographic Prose in the Late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