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는 한국 최초 여성 조경가 정영선(1941- )의 반세기에 걸친 작품 세계를 조명하는 개인전이다. 이 전시는 1980년대부터 〈서울올림픽미술관, 조각공원〉(1988), 〈대전 엑스포 '93〉 (1993,1999), 〈여의도샛강생태공원〉(1997, 2008), 〈선유도공원〉(2002) 등 국가·지역·민간 주요 프로젝트를 구축해 온 정영선의 대표작들을 소개한다. 동시에 서울관 특색에 맞는 현장 작업을 커미션하여 정영선의 조경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정원을 전시마당과 종친부 마당에 조성한다.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는 정영선이 주창해온 조경가의 ‘예술가적 자질’에 기반한 장소맥락적 연구, 기능과 조형의 조화, 자연계에 내재하는 생태적 질서에 부응하는 방법론으로서의 조경을 시각예술이자 종합과학예술의 한 분야로 조망해본다. 또한, 조경 특유의 시간성, 치유적 속성뿐만 아니라 공공성, 사회문화적 영향, 다양한 협업의 사례들을 연결하고자 한다.
도록은 이지회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의 기획의 글과 정영선 조경가의 에세이, 그리고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이수지 아크데스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정지돈 소설가의 원고를 포함한다. 또한 정영선과 이진형, 민현식, 김종규가 참여한 조경가와 건축가의 대담을 포함한다. 전시의 소주제인 '패러다임의 전환, 지속 가능한 역사 쓰기', '세계화 시대, 한국의 도시 경관', '자연과 예술, 그리고 여가 생활', '식물, 삶의 토양', '하천 풍경과 생태의 회복', '정원의 재발견', '조경과 건축의 대화'에 따라 정영선의 프로젝트 관련 사진, 도면, 해제, 아카이브와 부록(정원과 전시 전경, 연보, 더 읽을거리) 등을 수록한다.
국립 현대 미술관
1969년 경복궁에서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은 이후 1973년 덕수궁 석조전 동관으로 이전하였다가 1986년 현재의 과천 부지에 국제적 규모의 시설과 야외조각장을 겸비한 미술관을 완공, 개관함으로써 한국 미술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1998년에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덕수궁 석조전 서관을 국립현대미술관의 분관인 덕수궁미술관으로 개관하여 근대미술관으로서 특화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2013년 11월 과거 국군기무사령부가 있었던 서울 종로구 소격동에 전시실을 비롯한 프로젝트갤러리, 영화관, 다목적홀 등 복합적인 시설을 갖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을 건립·개관함으로써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의 문화적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또한 2018년에는 충청북도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을 재건축한 국립현대미술관 청주를 개관하여 중부권 미술문화의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정영선─조경가, 국토개발기술사, 서안 대표
이지회─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배정한─서울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이수지─아크데스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정지돈─소설가
이진형─서안 소장
민현식─기오헌 대표
김종규─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4 발간사-김성희
6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이지회
26 나의 길, 나의 작품-정영선
54 태도가 경관이 될 때: 정영선의 조경-배정한
72 패러다임의 전환, 지속 가능한 역사 쓰기
98 세계화 시대, 한국의 도시 경관
124 우리에 관한 이야기-이수지
136 내용 없는 아름다움-정지돈
148 자연과 예술, 그리고 여가 생활
180 식물, 삶의 토양
218 하천 풍경과 생태의 회복
244 흐르는 강물, 흐르는 시간 위의 선유도공원-정영선
254 정원의 재발견
286 조경과 건축의 대화
320 조경가와 건축가의 대담: 대지의 역사와 생명에 관한 고찰─정영선, 이진형, 민현식, 김종규
330 건축과 자연의 경계에서 관계 맺기-정영선
332 조화로운 삶을 위해-정영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