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300

AUTHOR :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
ISBN : 9788963034201
PUBLISHER : 국립현대미술관문화재단
PUBLICATION DATE : December 20 ,2024,
SPINE SIZE : 0 inches
PAGES : 648
SIZE : 6.5 * 9.1 inches
WEIGHT : 0 pounds
CATON QTY : 0
PRICE : $35
“박종배朴鍾培(1935~)는 한국 현대 추상조각을 대표하는 조각가이다. [...] 1981년에 제작한 ‹고딕체›는 위로 향한 계단 형상의 청동 조형 작품으로 수직적 형태의 외형에서 리듬과 질서가 느껴진다. 상승감이 느껴지는 기하학적인 작품의 형태는 건축적 조각과 같이 공간을 구성하고 물리적 존재감을 드러내는 등 매우 구축적이다. 마치 건축의 한 부분을 이루는 계단과도 같은 형상이지만 작품을 자세히 보면 계단의 앞면과 뒷면이 동시에 노출되어 실제 계단과 같이 사실적인 표현 형태는 아니다. 오히려 상승과 하강, 앞면과 뒷면의 대비적 효과로 긴장감을 준다.”
一 278쪽

“서세옥의 이러한 조형미의 근간이 되는 기법은 위에서 내려다보는 부감시 기술 때문이다. 모든 인물들을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점에서 여백에 대한 인식과 공간 활용이 매우 남다르게 보여진다. 색채를 금하고 생략과 강조 그리고 단순한 붓 한 획으로 많은 내용을 함축해내는 역량이 서세옥 작품의 특징이다.”
一 358-359쪽

“양혜규의 작품은 매우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경험과 관찰에서 작업의 발상이 시작된다. 정치적인 이슈에서부터 지극히 소소한 일상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주변을 이루는 모든 상황들이 발상의 원천으로 작용한다. 그것은 골똘한 사고, 불현듯 스치는 생각, 묘하고 모호한 감각, 그리고 모종의 기억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방식으로 작가에게 다가온다. 그리고 일상적인 오브제들, 빨래 건조대에서부터, 편지 봉투의 패턴, 블라인드, 전구, 실타래 등 온갖 잡동사니들이 작품의 재료가 되고, 이들은 빛, 열기, 바람, 향기, 리듬, 소리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그 존재를 투과시킨다.”
一 594쪽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

1969년 경복궁에서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은 이후 1973년 덕수궁 석조전 동관으로 이전하였다가 1986년 현재의 과천 부지에 국제적 규모의 시설과 야외조각장을 겸비한 미술관을 완공, 개관함으로써 한국 미술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1998년에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덕수궁 석조전 서관을 국립현대미술관의 분관인 덕수궁미술관으로 개관하여 근대미술관으로서 특화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2013년 11월 과거 국군기무사령부가 있었던 서울 종로구 소격동에 전시실을 비롯한 프로젝트갤러리, 영화관, 다목적홀 등 복합적인 시설을 갖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을 건립·개관함으로써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의 문화적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또한 2018년에는 충청북도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을 재건축한 국립현대미술관 청주를 개관하여 중부권 미술문화의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발간사─김성희(국립현대미술관 관장)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300을 펴내며─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

1910s
001 조석진 노안
002 안중식 산수
003 고희동 자화상

1920s
004 채용신 고종황제 어진
005 김은호 애련미인도
006 이도 기명절지
007 이상범 초동
008 이종우 누드(남자)
009 김주경 북악산을 배경으로 한 풍경
010 이일 시골 소녀
011 김종태 노란 저고리

1930s
012 임용련 에르블레 풍경
013 서동진 뒷골목
014 도상봉 성균관
015 이마동 꽃다발이 있는 정물
016 구본웅 친구의 초상
017 김기창 가을
018 이용우 점우청소
019 김복진 미륵불
020 김중현 춘양
021 윤승욱 피리부는 소녀
022 장우성 승무도
023 김환기 론도
024 오지호 남향집
025 이대원 뜰
026 이인성 계산동 성당
027 정찬 공작

1940s
028 최재덕 농가
029 허백련 춘경산수, 하경산수, 추경산수, 동경산수
030 진환 혈
031 윤효중 현명
032 허건 목포 교외
033 김경승 소년입상
034 이유태 인물일대-탐구, 인물일대-화운
035 김기 향가일취
036 김정현 농촌풍경
037 성재휴 고사
038 정종여 오세창 선생 초상
039 류경채 폐림지 근방
040 임군홍 고궁
041 이쾌대 여인 초상

[이하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