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해시태그 2024

AUTHOR : 국립현대미술관
ISBN : 9788963034317
PUBLISHER : 국립현대미술관문화재단
PUBLICATION DATE : February 20 ,2025,
SPINE SIZE : 0 inches
PAGES : 224
SIZE : 6.5 * 9.1 inches
WEIGHT : 0 pounds
CATON QTY : 0
PRICE : $20
《프로젝트 해시태그》는 국립현대미술관이 한국 시각예술을 이끌어 갈 창작자를 발굴하고 미술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상호 협업을 지원하기 위해 기획한 개방형 공모 사업이다. 현대자동차의 후원으로 2019년부터 시작하여 2024년 5회를 맞이한 《프로젝트 해시태그》는 동시대 시각예술의 확장성을 실험하는 새로운 차원의 공모 사업이다.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4》는 ‘게임’이라는 매체를 통해 서로 다른 주제를 제안한 두 팀, ‘소망사무국(Wish Office: 김래오, 서요한, 서진규, 오새얼, 티타늄(최준성))’과 ‘플레잉 아트 메소드(Playing Art Method: 조호연, 김영주, 이세옥)’의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소망사무국은 모든 사람의 소망이 이루어지는 가상의 세상인 ‘소망 세계’를 구축한다. 사회 실험적 프로젝트 〈모두의 소망〉은 개인의 노력이 쉽게 좌절되는 현대 사회를 게임의 어법으로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플레잉 아트 메소드는 게임 미디어가 작품의 한 형식으로서 미술관에 전시될 때 발생하는 질문을 정리하여 대화의 장을 조성한다. 이 질문을 토대로 다양한 형식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유의미한 담론을 생성하는 느슨한 학습 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한다.
도록은 국립현대미술관 박덕선 학예연구사의 기획의 글과 함께 소망사무국의 작업에 관한 앨리스온 편집장 허대찬의 글과 작가와 독립 기획자 정시우가 나눈 인터뷰를 수록한다. 또한, 플레잉 아트 메소드의 작업에 대한 2024 트랜스미디어알레 예술감독 노라 오 멀후(Nora O’ Murchú)의 글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초빙교수 오영진의 인터뷰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이와 함께 두 팀의 소개와 작업에 대한 도판 이미지, 전시 전경 등을 포함한다.


국립현대미술관

1969년 경복궁에서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은 이후 1973년 덕수궁 석조전 동관으로 이전하였다가 1986년 현재의 과천 부지에 국제적 규모의 시설과 야외조각장을 겸비한 미술관을 완공, 개관함으로써 한국 미술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1998년에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덕수궁 석조전 서관을 국립현대미술관의 분관인 덕수궁미술관으로 개관하여 근대미술관으로서 특화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2013년 11월 과거 국군기무사령부가 있었던 서울 종로구 소격동에 전시실을 비롯한 프로젝트갤러리, 영화관, 다목적홀 등 복합적인 시설을 갖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을 건립·개관함으로써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의 문화적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또한 2018년에는 충청북도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을 재건축한 국립현대미술관 청주를 개관하여 중부권 미술문화의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박덕선─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정시우─독립기획자
허대찬─미디어문화예술채널 앨리스온 편집장
오영진─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융합교양학부 초빙조교수
노라 오 멀후─2024 트랜스미디어알레 예술감독
소망사무국─작가
플레잉 아트 메소드─작가

발간사
10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4》을 열면서─김성희

기획글
18 #해시태그#플레이#연대하기─박덕선

소망사무국 〈모두의 소망〉
42 소망사무국 - 모두의 소망
62 [인터뷰] 게임, 소망, 디버그, 멸망으로 향하는 회귀의 롤플레잉─정시우
84 [비평] 게임화된 소망, 시스템화된 욕망: 소망사무국의 〈모두의 소망〉─허대찬

플레잉 아트 메소드 〈플레잉 아트 메소드〉
122 플레잉 아트 메소드 - 플레잉 아트 메소드
148 [인터뷰] 미술관 관람객과 플레이어 사이에 선 게임─오영진
185 [비평] 게임에 관한 게임─노라 오 멀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