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도전과 모색 (New Challenges and Perspectiv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Pandemic)

팬데믹 이후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도전과 모색 (New Challenges and Perspectiv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Pandemic)

Author: 블랑카 페르클로바 , 정연우 , 이페트라 , 이일성 엮음

ISBN: 9788997134588

Publisher: Kong & Park

Published Date: 2023-06-20

Price: ₩ 25,000 | $ 18.89

Go to online bookstore:

Description

전 세계 한국어 교육 현장에 불어닥친 위기, 팬데믹이 불러온 변화 그리고 도약의 시간 팬데믹이라는 전례 없는 위기 상황 속에서 전 세계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 수업에도 큰 변화가 찾아왔다. 대면 수업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한국어 교육자들은 새로운 교수법을 모색해야만 했고, 그전까지는 보충 역할로만 사용했던 도구의 사용법을 익혀 주된 교수 수단으로 삼아야 했다. 팬데믹 기간 동안 이루어진 한국어 수업은 디지털화의 경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해결책뿐만 아니라, 기존 도구의 더 나은 사용법과 결합을 모색하기 위한 공간을 창출했다. 또한 팬데믹이 잦아든 지금도 많은 한국어 교육자들이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들을 잊지 않고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인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자산으로 삼고 있다.

《팬데믹 이후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도전과 모색》에는 팬데믹 기간의 한국어 교육을 주요 주제로 하는 기고문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의 다양한 측면을 다룬 고전 음성학, 문법, 의미론, 번역, 문화, 역사 및 기타 연구도 포함되어 있다. 이 책에는 2022년 9월 29일부터 10월 2일에 걸쳐 체코 올로모우츠 소재 팔라츠키대학교 아시아학과에서 열린 하이브리드 형식의 워크숍에서 발표된 기고문들이 실렸으며, 이 책의 저자들은 유럽한국어교육자협회(EAKLE)의 소속이나 유럽 국가에만 국한되어 활동하지 않고 내용상으로도 한국어 교육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EAKLE 소속 회원들 모두 관련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동하며 동료 교육자들을 만나 그들의 경험과 전문 지식을 공유하고 수업과 교수법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는 만큼, 이 책의 각 단원에 실린 내용 또한 다채롭다.

1부에서는 다양한 교수법 및 비대면 수업과 한국어 교육, 2부에서는 한국 문화 및 번역과 한국어 교육, 3부에서는 어휘 및 문법과 한국어 교육, 4부에서는 학습자 및 교육 자료와 한국어 교육, 5부에서는 한자와 한국어 교육 등의 내용이 충실히 담겨 있다.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은 팬데믹을 지난 지금도 전혀 식지 않고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폭발적인 관심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유럽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나라의 대학에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은 물론 새로운 학습 프로그램과 관련 일자리 창출 및 수업 방식과 학습 도구, 교육 자료 등에도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팬데믹이 한국어 교육에 미친 영향을 단순히 부정적으로만 평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많은 교육자들은 팬데믹을 통해 원격 교육의 필요성을 실감하고 이를 구현하고자 큰 노력을 기울이며 창의성을 발휘하였다. 그러는 동안 다양한 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험하고 자료를 디지털화하였으며 동영상 등의 도구들을 사용하고 관련 정보를 공유하며 한국어 교육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노력하였다.

《팬데믹 이후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도전과 모색》에는 이와 관련하여 모범이 될 만한 해결책과 과정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전 세계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팬데믹 이후를 준비하며 고군분투하는 모든 교육자에게 이 책은 가치 있는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4
I. 교수법 및 비대면 수업과 한국어 교육
1. Designing Project Modules for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12
2. Moodle을 사용한 한국어 연습 문제 만들기 프로젝트 -28
3.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in India -42
4. 역번역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58
5. 유럽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수법, 절충식 교수법? -80
6. 태블릿을 활용한 한국어 회화 수업의 과업 중심 교수법 분석 -90

II. 문화 및 번역과 한국어 교육
1. K-POP 노래를 활용한 취미 목적 한국어 실제 수업 방안 -102
2. Teaching Culture in Undergraduate Korean Language Courses in Hungary -118
3. 남북한 언어 이질화의 구체적인 현황과 그에 따른 문제점 -134
4. 번역 강의와 번역 태도 -146
5. 한국 현대사를 활용한 한국어 고급 학습자 교육 방안 연구 -160

III. 어휘 및 문법과 한국어 교육
1. L2 한국어의 발달 연구 -174
2.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먹다’와 ‘마시다’ 동사 사용에 관한 연구 -192
3. 한국어 강조 정도 부사의 사용 양상 -212
4. 한국어 복수 표지 ‘들’의 문법적 특이성과 교육의 필요성 -228
5. 한국어 용언의 활용형 연구 -240

IV. 학습자 및 교육 자료와 한국어 교육
1. 학문 목적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 결론 구조에서 드러나는 개입(engagement) 양상 -258
2. 한국어 교육용 용언 활용형 웹 사전 모형 개발 -272
3. 한국어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도 관계 연구를 통한 한국학 발전 방향 모색 -282
4. 해외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태도 연구 -294

V. 한자와 한국어 교육
1.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of Korean intermediate vocabulary using Hanja-o from TOPIK tests -326
2. Sino-Korean Characters and Sino-Korean Vocabulary Teaching System in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Sofia University “St. Kliment Ohridski” -340
3.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에서의 한자 교육 I -356
4.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한자어 교육의 중요성과 방법 -370
5. 한자 교재의 현재와 유럽에서의 한자 교육 -386



Inside the book:

본래 번역학에서 시작된 역번역은 외국어 원문을 모국어로 번역한 뒤 해당 번역의 품질을 판단하기 위해 다른 번역가에게 해당 번역문을 다시 원문으로 번역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 과정은 학습자의 한국어 텍스트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모국어 텍스트로 1차 번역이 가능하기 때문에 꼼꼼하고 정확하게 읽는 이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국어로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번역을 연습할 수 있다. 또한 모국어 텍스트를 한국어 텍스트로 번역하는 과정에서는 어떻게든 학습자가 가진 언어 지식 내에서 적절한 어휘와 표현, 문법들로 표현해 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 쓰기와 달리 학습자가 모르는 것들을 회피하는 일이 불가능하다. 이를 통해 자신의 언어 실력을 진단하고 구체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인지할 수 있으며, 원문과 자신이 역번역한 텍스트를 비교함으로써 오류를 바로잡고 더 적절하며 한국어 화자다운 자연스러운 표현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_‘역번역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중에서

학습 과정을 학습 포트폴리오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태블릿을 활용한 수업의 교육적 효과라고 볼 수 있다. 학습관리시스템으로 태블릿을 활용하면서 수기로 필기한 것을 촬영하여 기록하고 태블릿에 직접 필기를 하는 학습자도 많았는데, 태블릿을 사용하면 학습 내용을 모두 한곳에 기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필기뿐만이 아니라 발음을 연습한 음성 및 발표 동영상 자료까지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용량만 확보된다면 시간순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저장한 자료는 교육자도 언제든지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해 두면 학습자의 현재 학습 상황과 도달도의 확인이 용이하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의 증대를 위하여 교수자는 학습자가 한 단계 더 위로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판으로서의 스캐폴딩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한다. _‘태블릿을 활용한 한국어 회화 수업의 과업 중심 교수법 분석’ 중에서

번역을 외국어 학습을 위한 보조 도구로 여길 때, 번역 강의의 스펙트럼은 외국어로 쓰인 텍스트의 독해나 어휘 공부, 작문 수준에 갇히게 마련이고, 실제로 다수의 번역 강의가 이 같은 틀 속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적지 않게 목격한다. 번역을 의사소통과 외국어 학습의 도우미 정도로 여길 때, 번역가뿐 아니라 번역 교육의 위기는 자명해진다. 반면 어떤 보편적 원칙에 따라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자리를 이동하거나 단어를 대체하는 작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번역을 타자와 만나는 방법이며 타인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는 한 방법이고 이 과정에서 마주치는 언어적·문화적 고민을 창의적으로 극복하며 해답을 찾아 나가는 매우 주체적이고 주관적인 과정 그 자체로 이해할 때, 번역과 번역 강의의 위상은 더욱 공고해질 수 있을 것이다. _‘번역 강의와 번역 태도’ 중에서

케이팝, 한국 영화, 음식 등 한국의 대중문화로 촉발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은 곧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게 마련이고, 한국어 이해력 및 구사력이 고급 수준에 가까워짐에 따라 한국 사회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가 깊어지면서 그에 대한 문제의식이 생겨나게 된다. 여기에 학습자 개인의 해석이 동반되는 과정에서 현재 한국 사회가 형성된 과정으로서 한국사 학습의 필요성 또한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별도의 한국사 수업이 아니라 한국어 과정 내에 수업의 세부 주제로서 한국사를 활용하는 데에는 더욱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우선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광범위한 역사적 사건들 중에서 한국어 교육에 효과적인 주제를 선정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 읽기-듣기-말하기-쓰기의 네 가지 기능별 수업 구성을 위해서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을 담보할 수 있는 역사적 사건을 택할 필요가 있다. _‘한국 현대사를 활용한 한국어 고급 학습자 교육 방안 연구’ 중에서